AWS RDS : Cannot Connect to Database Server 오류

Amazon RDS를 사용하여 MySQL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하기

 

Amazon RDS를 사용하여 MySQL 데이터베이스 생성 및 연결

닫기 피드백을 제공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피드백은 AWS 경험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피드백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려면 아래의 피드백 단추를 클릭하세요.

aws.amazon.com

 

위 문서에 들어가면 RDS에 DB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것부터 MySQL에 연결하는 것까지 자세히 설명되어 있으니 참고하면 충분할 것이다. 이 포스트에서는 연결 오류에 대해 정리해두고자 한다.


오류 : Cannot Connect to Database Server

 

DB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시키는 대로 MySQL에 연결까지 하고 접속을 시도했는데 위와 같은 오류창이 떴다면 다음과 같은 해결방법을 시도해보면 된다.

 

1. 퍼블릭 액세스 여부 확인

 

이미 생성된 RDS 데이터베이스를 굳이 삭제할 필요없이 수정을 진행해주면 된다.

 

서비스 > RDS > 데이터베이스 에서 생성한 데이터베이스로 들어가 우측 상단의 수정 버튼을 클릭한다.

 

생성할 때 설정했던 사항들이 변경할 수 있게 나열되어있는데 중간쯤 내리면 연결과 관련한 설정 부분이 보일 것이다. 여기서 퍼블릭 액세스 가능에 체크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퍼블릭 액세스는 데이터베이스 인스턴스에 대한 IP 주소가 할당되어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직접 연결할 수 있게 해준다. 같은 VPC 내부의 EC2가 아닌 외부 컴퓨터, 내 로컬 컴퓨터에서도 RDS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고 싶다면 퍼블릭 액세스 여부를 가능으로 설정해둬야 한다.

 

2. 보안 그룹 규칙 수정

 

EC2를 검색해서 네트워크 및 보안 > 보안 그룹 으로 이동한다.

 

 

인바운드 규칙 편집으로 들어가준다.

 

나같은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면서 새로 생긴 규칙을 삭제해주었다. (아마 인바운드 규칙으로 들어가면 하나 생겨있을 것이다.) 테스트 삼아 이것저것 해보는 중인데 삭제한다고 해서 문제가 되는 것 같지는 않다.

 

MySQL을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유형은 MYSQL/Aurora로 선택해주고 소스는 Anywhere-IPv4, Anywhere-IPv6 모두 열어주었다. 모든 IP 주소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언젠가 보안 이슈가 발생할 수 있다고 하는데 간단한 개인 프로젝트용으로 쓸 생각이라 어디서든 편하게 작업하기 위해 모두 열었다. 팀프로젝트 경우에는 팀원들의 IP를 받아서 개별적으로 열어주는 방법을 사용해봐야 할 듯 하다.

 

이렇게 두 가지 방법을 모두 확인했다면 다시 MySQL Workbench로 가서 해당 connection에 접속해보면 오류 없이 잘 작동될 것이다.

'Backend > Date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MongoDB와 MySQL 차이  (0) 2024.01.23
재귀 쿼리  (0) 2023.12.16
서브쿼리(Subquery)  (0) 2023.11.10
식별 관계와 비식별 관계  (0) 2023.10.25
REST API(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I)  (0) 2023.10.19